SEB/Practical
[Java] 전기 요금 계산기
kexon
2022. 7. 10. 02:45
전기 요금 계산법 확인
https://cyber.kepco.co.kr/ckepco/front/jsp/CY/J/A/CYJAPP000NFL.jsp
❤️ 실행 예시
🧡 주택용 전기요금(저압) 계산법
- 100kWh 이하: 60.70원/kWh
- 100kWh 초과: 125.90원/kWh
- 200kWh 초과: 187.90원/kWh
- 300kWh 초과: 280.60원/kWh
- 400kWh 초과: 417.70원/kWh
- 500kWh 초과: 670.60원/kWh
💛 주의사항
- 전력 사용량이 150kWh라면, 100kWh를 초과했으므로, 125.90 * 150이 아니라
- 실제 요금은 전력량 초과분에 대한 구간을 적용해 요금을 책정해야함
- 예시: 전력 사용량이 150kWh 일 때,
- 100kWh: 100kWh 이하 요금에 포함 ⇒ 100kWh * 60.70원
- 50kWh: 100kWh 초과 요금에 포함 ⇒ 50kWh * 125.90원
- 총 금액: 12365.00원
💚 진행 순서
- 사용량 없을 때 사용량 없음 출력
- 사용량이 100kWh 이하일 때 금액 작성
- 초과된 사용량에 대한 구간별 금액 작성
💙 구현
- 사용량을 입력하면 사용량과 요금을 알 수 있음
- 총 금액 3자리마다 끊어주기
- printf 사용
- % ,10: 천단위 컴마찍어주고 .2f: 소수점 2자리까지 표시
💜 추가하면 좋을 기능
- 한 번 입력으로 끝나지 않고 계속 입력 받을 수 있게 하기
🤍 코드
더보기
import java.util.Scanner;
public class ElectricityBill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ystem.out.println("=".repeat(25));
System.out.println(" 주택용 전기요금(저압) 계산기 ");
System.out.println("=".repeat(25));
double result = 0.0;
double usage;
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System.out.print("사용량 입력> ");
usage = sc.nextDouble();
// 1. 사용량이 없을 때 사용량 없음 출력
if(usage <= 0)
System.out.println("사용량 없음");
// 2. 사용량이 100kWh 이하일 때 금액
else if(usage <= 100)
result = usage * 60.7;
// 3. 초과된 사용량에 대한 구간별 금액 작성
else if(usage < 201)
result = 6070 + ((usage - 100) * 125.9);
else if(usage < 301)
result = 6070 + 12590 + ((usage - 200) * 187.9);
else if(usage < 401)
result = 6070 + 12590 + 18790 + ((usage - 300) * 280.6);
else if(usage < 501)
result = 6070 + 12590 + 18790 + 28060 + ((usage - 400) * 417.7);
else
result = 6070 + 12590 + 18790 + 28060 + 41770 + ((usage - 500) * 670.6);
System.out.printf("%.0fkWh의 전기 요금은 %,10.2f원 입니다.", usage, result);
}
}